[Python] 3-3. 자료형 - 리스트, 튜플 (List, Tuple)
파이썬의 자료구조 (List, Tuple) 리스트 특징 튜플 특징 인덱싱 슬라이싱 삽입, 삭제, 함수 사용 1. 리스트 (순서o, 중복o, 수정o, 삭제o) 1) 인덱싱 2) 슬라이싱 3) 연산 ' + ' : 리스트를 하나로 합쳐줌 ' * ' : 리스트를 반복해서 n 번 나열 문자열 형 변환하여 연산 가능 4) 리스트 수정 5) 리스트 함수 # 삭제 = del, remove, pop 2. 튜플 (순서o, 중복o, 수정x, 삭제x) 로그인정보, 고객 계좌번호, 프로그램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키값 등 변경, 삭제 등 되면 안되는 중요한 값, 실행 시 프로그램 오작동 되거나 프로그램 실행 환경에 문제가 되는 데이터는 튜플로 관리하면 좋다 1) 슬라이싱 & 연산 2) 튜플 함수
Python / 점프투파이썬 2장 : 파이썬의 자료형 / 숫자열, 문자열,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 불 / 코딩공부, 파이썬 백슬래시(\,backslash) 입력방법
*파이썬 공부하면서 요약 정리중인 개인 노트장* 언어의 자료형 ( Data Collection ) 자료형이란 프로그램의 기본, 핵심 단위이다. 프로그래밍을 할 때 쓰이는 숫자, 문자열 등 자료 형태로 사용하는 모든 것을 뜻한다. 데이터 컬렉션은 문자열, 수치형 데이터를 묶고 더 효율적으로 검색, 정렬하는 방법들이다. 가장 기초 공사 작업을 위해 배워야 하는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e.g. 계산 프로그램을 만들려면 어떤 것을 계산해야할지 알아야 하고,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을 만들려면 어떤 자료를 저장할지부터 알아야 함) 숫자형 / Numbers 더보기 1) 숫자형의 종류 정수형 (Integer) 실수형 (Floating-point) e.g.) a= 4.24E10 = 4.24 * 10의 10제곱 =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