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함수
1) 함수 정의하여 콘솔에 띄우기 (기명함수)

2) 반환 키워드 'return' 을 활용해 반환한 값을 함수 밖으로 내보내기

3) 익명의 함수를 특정 변수에 담아서 활용 (함수 표현)

4) return 키워드 주의사항
함수 내에서 return 키워드가 사용되는 부분에서 함수가 종료됨.
return 키워드의 작성 순서를 신경써야 함, 즉 조건을 만들어 특정 조건을 실행할지 말지를 결정할 때도 응용가능


(응용)



5) arguments 객체
매개변수를 지정하지 않아도 arguments 객체를 통해 함수 활용 가능,
sum함수 실행 시 인수로 넣은 7, 3이 데이터 순서 배열형태로 적용됨


함수 사용시 활용할 인수가 너무 많아서 변수를 x, y, z.... 일일이 지정이 어려울 때 사용가능
그러나 일반적인 경우에는 zero based number때문에 직관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가급적 x, y를 명시적으로 작성하는 걸 우선으로 사용할 것을 권장
2. 화살표 함수
1) => 를 통해 축약형으로 기본 함수를 작성 가능
단, 함수 내에는 단순실행문만 작성 가능 (console.log 등 입력 불가)



2) 화살표 함수 : 간단한 실행문(e.g. 산술) 또는 숫자, 문자데이터, boolean데이터, [ ] 대괄호 배열 데이터 입력 가능.
단, 실행문을 중괄호로 감싸면, 값 반환 불가. (객체 데이터 로직을 만들 때 활용하여 블럭을 구분하는 표시이기 때문)
return 키워드를 사용해야 실행됨/
중괄호를 반환하고 싶으면 중괄호를 소괄호로 감싸줘야함



3. 즉시실행함수 (IIFE, Immediately-Invoked Function Expression)
단 한번만 활용할 함수라면, 굳이 기명함수를 만들어서 선언해둘 필요 없음 (효율성 저하)
이럴 때 즉시실행함수를 사용함
즉시실행함수는 익명함수여서 세미콜론을 통해 전후 함수와 관계가 없음 (이전 함수가 활용 종료됨)을 알려주는 ';' 세미콜론을 찍어줘야 에러가 안남

즉시실행함수 활용 방법 2가지
1) (x)( ) 순서
2) (x( )) 순서 : 권장

'개발 공부 > Front-end study 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클래스(1) : 생성자 함수, this, ES6 Classes, 상속(확장) (0) | 2021.10.09 |
---|---|
[JavaScript] 함수(2) : 호이스팅, 타이머 함수, 콜백 (0) | 2021.09.02 |
[JavaScript] 연산자(operator)의 종류 (0) | 2021.08.28 |
[JavaScript] 데이터타입 확인+ 함수 export/import (0) | 2021.08.15 |
[JavaScript] 개요 (0) | 2021.08.08 |